- [ Data Structure ] 🔗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Hyungjin📚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의 개념연결 리스트(Linked List) 는 데이터를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배열과는 다르게,각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가 서로 떨어져 있는 자료구조이다.연결 리스트는 각 데이터가 노드(Node)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이 노드는 두 가지 정보를 가지고 있다:데이터: 노드에 저장된 값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(링크): 다음 노드의 메모리 주소 🔗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의 특징동적 메모리 할당 : 배열은 크기가 고정되어 있지만, 연결 리스트는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노드를 추가할 수 있다.노드 추가/삭제가 효율적 : 연결 리스트에서는 중간에 노드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때 전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,몇 개의 포인터만 수정하면 되기 때문에 배열보다 효율적..
- 2025-01-02 20:14:21
- [ Data Structure ] 🍡 큐(Queue)Hyungjin📚 큐(Queue)의 개념큐(Queue) 는 '줄을 서다'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.큐는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자료구조이다.큐역시 스택과 마찬가지로 생활 속에서 쉽게 예를 찾아볼 수 있는데식당에 줄을 선 순서대로 식당에 입장장할 때를 생각해보면 된다.이런 큐(Queue) 의 특징을 선입선출 또는 FIFO(first in first out)이라고 한다.그리고 스택과 마찬가지로 큐도 삽입하는 연산을 push, 꺼내는 연산을 pop이라고 한다. ⚙️ 큐(Queue)의 동작 원리그럼 큐(Queue) 에서 원소가 이동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그림으로 그려서 알아보도록 하겠다. 1. 우선 빈 큐(Queue) 를 하나 선언해주겠다. 2. 해당 큐에 원소 2 를 삽입하는데 빈 큐이므로 제일 앞에 삽입을 ..
- 2025-01-02 20:04:24
- [ Data Structure ] 🥞 스택(Stack)Hyungjin📚 스택(Stack)의 개념스택(Stack)의 어원은 '쌓는다' 이다.어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먼저 입력한 데이터를 제일 나중에 꺼낼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.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예시로티슈를 생각해보면티슈를 만들 때 먼저 넣는 티슈가 가장 아래에 위치한다.그래서 티슈를 사용할 때는 가장 위에 있는 티슈부터 사용할 수 있게된다.이렇게 먼저 들어간 것이 마지막에 나오는 규칙을 후입선출 또는 LIFO(Last In First Out)라고한다.이때 스택에 삽입하는 연산을 push, 꺼내는 연산을 pop이라고 한다. ⚙️ 스택(Stack)의 동작 원리위에서 설명한 스택에 대한 개념을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⚖️ 스택(Stack)의 정의, ADT스택의 ADT라는 것을 정의해보자ADT는 우리말로 추상..
- 2025-01-02 20:02:07
스킨 업데이트 안내
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.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?
("아니오"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.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