• 티스토리 홈
  • 프로필사진
    Hyungjin
  • 방명록
  • 공지사항
  • 태그
  • 블로그 관리
  • 글 작성
Hyungjin
  • 프로필사진
    Hyungjin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5)
      • 🧑🏻‍💻 Dev (0)
        • UI Components (0)
        • Server (0)
        • Practice (0)
      • 🔠 Language (0)
        • JavaScript (0)
        • TypeScript (0)
        • Java (0)
      • 📚 Library (1)
        • ThreeJs (R3F) (0)
        • GSAP (0)
        • ReactJs (1)
        • React Native (0)
        • NextJs (0)
        • VueJs (0)
      • 🌐 Web (0)
        • Web Animation (0)
        • Web Performance (0)
      • 🧪 Computer science (3)
        • Algorithm (0)
        • Data Structure (3)
      • 🎨 Design (0)
        • Design System (0)
        • Figma (0)
        • Blender (0)
      • 👾 Git (1)
      • 🚨 Error (0)
      • ☀️ Daily Life (0)
  • 방문자 수
    • 전체:
    • 오늘:
    • 어제:
  • 최근 댓글
  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    • 최근 공지
        등록된 공지가 없습니다.
      # Home
      # 공지사항
      #
      # 태그
      # 검색결과
      # 방명록
      • 포스트글 썸네일 이미지
        [ React ] 🐢 Node.js Basic
        Hyungjin:
        📚 section03-nodeJs-basic 🐢 Node.js Node.js는 JavaScript의 실행 환경이다.패키지(package)는 Node.js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단위이며, npm init 또는 npm init -y 명령어로 새로운 패키지를 초기화할 수 있다.package.json의 “scripts” 항목에 스크립트를 설정하면 매크로처럼 사용할 수 있으며, 복잡한 경로에 있는 파일도 설정한 명령어로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. 📦 모듈 시스템 모듈 시스템(Module System)은 모듈을 다룰 수 있는 시스템이다. 여러 기능을 구현할 때 기능별로 파일을 나누어 개발하게 되며, 예를 들어 user.js, cart.js, payment.js처럼 구성할 수 있다. 이 중 하나에만 오류가 ..
        • 2025-05-08 17:46:52(64일 전)
      • 포스트글 썸네일 이미지
        [ Git ] 👾 Git 명령어
        Hyungjin:
        🛠️ Git 초기 설정Git을 설치하고 나면 Git의 사용 환경을 적절하게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.환경 설정은 한 컴퓨터에서 한 번만 하면 되고 설정한 내용은 Git을 업그레이드해도 유지됩니다.# Git 사용자 ID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seulbinim"# Git 사용자 Email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seulbinim@gmail.com# Git Default Editor 설정 (Visual Studio Code)git config --global core.editor "code --wait"# windows와 Mac OS의 공백문자(줄바꿈) (Carriage return, Lind Feed)# Windows 환경git config --g..
        • 2025-01-02 20:26:06(190일 전)
      • 포스트글 썸네일 이미지
        [ Data Structure ] 🔗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
        Hyungjin:
        📚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의 개념연결 리스트(Linked List) 는 데이터를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배열과는 다르게,각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가 서로 떨어져 있는 자료구조이다.연결 리스트는 각 데이터가 노드(Node)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이 노드는 두 가지 정보를 가지고 있다:데이터: 노드에 저장된 값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포인터(링크): 다음 노드의 메모리 주소 🔗 연결 리스트(Linked List)의 특징동적 메모리 할당 : 배열은 크기가 고정되어 있지만, 연결 리스트는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노드를 추가할 수 있다.노드 추가/삭제가 효율적 : 연결 리스트에서는 중간에 노드를 삽입하거나 삭제할 때 전체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,몇 개의 포인터만 수정하면 되기 때문에 배열보다 효율적..
        • 2025-01-02 20:14:21(190일 전)
      • 포스트글 썸네일 이미지
        [ Data Structure ] 🍡 큐(Queue)
        Hyungjin:
        📚 큐(Queue)의 개념큐(Queue) 는 '줄을 서다'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.큐는 먼저 들어간 데이터가 먼저 나오는 자료구조이다.큐역시 스택과 마찬가지로 생활 속에서 쉽게 예를 찾아볼 수 있는데식당에 줄을 선 순서대로 식당에 입장장할 때를 생각해보면 된다.이런 큐(Queue) 의 특징을 선입선출 또는 FIFO(first in first out)이라고 한다.그리고 스택과 마찬가지로 큐도 삽입하는 연산을 push, 꺼내는 연산을 pop이라고 한다. ⚙️ 큐(Queue)의 동작 원리그럼 큐(Queue) 에서 원소가 이동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그림으로 그려서 알아보도록 하겠다. 1. 우선 빈 큐(Queue) 를 하나 선언해주겠다.  2. 해당 큐에 원소 2 를 삽입하는데 빈 큐이므로 제일 앞에 삽입을 ..
        • 2025-01-02 20:04:24(190일 전)
      • 포스트글 썸네일 이미지
        [ Data Structure ] 🥞 스택(Stack)
        Hyungjin:
        📚 스택(Stack)의 개념스택(Stack)의 어원은 '쌓는다' 이다.어원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먼저 입력한 데이터를 제일 나중에 꺼낼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.주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예시로티슈를 생각해보면티슈를 만들 때 먼저 넣는 티슈가 가장 아래에 위치한다.그래서 티슈를 사용할 때는 가장 위에 있는 티슈부터 사용할 수 있게된다.이렇게 먼저 들어간 것이 마지막에 나오는 규칙을 후입선출 또는 LIFO(Last In First Out)라고한다.이때 스택에 삽입하는 연산을 push, 꺼내는 연산을 pop이라고 한다. ⚙️ 스택(Stack)의 동작 원리위에서 설명한 스택에 대한 개념을 그림으로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 ⚖️ 스택(Stack)의 정의, ADT스택의 ADT라는 것을 정의해보자ADT는 우리말로 추상..
        • 2025-01-02 20:02:07(190일 전)
      조회된 결과가 없습니다.
      [1]
      스킨 업데이트 안내
     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.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?
      ("아니오"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.)
      목차
      표시할 목차가 없습니다.
        • 안녕하세요
        • 감사해요
        • 잘있어요

        티스토리툴바

        개인정보

        • 티스토리 홈
        • 포럼
        • 로그인

        단축키

        내 블로그

        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        Q
        Q
        새 글 쓰기
        W
        W

        블로그 게시글

        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        E
        E
        댓글 영역으로 이동
        C
        C

        모든 영역

        이 페이지의 URL 복사
        S
        S
        맨 위로 이동
        T
        T
        티스토리 홈 이동
        H
        H
        단축키 안내
        Shift + /
        ⇧ + /

        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